2월17일 안국역 탄핵찬성집회 일정 | 장소 | 참여방법 | 주의사항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과 국민의힘 해산을 촉구하는 촛불문화제가 2025년 2월 17일(월) 저녁 7시에 서울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이번 집회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 운영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모여 헌재 앞에서 직접 목소리를 내는 자리로, 많은 시민들의 참여가 예상됩니다. 추운 날씨 속에서도 민주주의를 위한 행동에 함께할 분들은 따뜻한 옷과 방한 용품을 준비해 주세요.
윤석열 파면 촛불문화제의 의미
윤석열 정부의 국정 운영 방식에 대한 비판과 국민의힘 해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시민들이 직접 나서서 의견을 표출하는 자리가 마련되었습니다. 이번 촛불문화제는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동시에 국민의힘의 책임을 묻는 자리로, 헌법재판소 앞에서 진행된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큽니다.
촛불집회는 단순한 시위가 아니라, 시민들이 민주주의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행동하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역사적으로도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시민들의 참여와 행동을 통해 발전해 왔습니다. 이번 촛불문화제도 그런 흐름의 연장선상에서 진행됩니다.
촛불문화제 일정 및 장소 안내
이번 촛불문화제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일정 | 세부 내용 |
---|---|
일시 | 2025년 2월 17일 (월) 저녁 7시 |
장소 | 헌법재판소 인근 (서울 안국역 1번 출구, 열린송현녹지광장 입구) |
참여 대상 | 민주주의를 지키고 싶은 모든 시민 |
준비물 | 따뜻한 옷, 촛불 또는 랜턴, 피켓 (선택) |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열리는 이번 문화제는 시민들의 자유 발언과 공연, 그리고 행진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예정입니다. 집회 참가자들은 헌법재판소 앞에서 직접 목소리를 낼 수 있으며, 온라인을 통한 연대도 가능합니다.
참여 방법 및 주의사항
이번 촛불문화제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으며, 온라인을 통한 후원과 지지도 가능합니다.
참여 방법
- 오프라인 참여: 당일 저녁 7시까지 헌법재판소 앞 열린송현녹지광장으로 오시면 됩니다.
- 온라인 후원:
- 계좌 후원: 신한은행 100-036-164860 (촛불행동)
- 페이팔 후원: paypal.me/candlemove
- ARS 후원: 060-707-3300 (한 통에 1만 원, 여러 번 가능)
주의사항
- 추운 날씨가 예상되므로 두꺼운 옷과 방한 용품을 준비하세요.
- 집회 도중 발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에 대비해 주변 사람들과 함께 행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 원활한 진행을 위해 자원봉사 및 행사 진행 도우미가 필요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사전에 신청해 주세요.
촛불문화제 주요 프로그램
이번 촛불문화제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 시민 자유 발언: 사전 신청자 및 현장 신청자를 대상으로 직접 발언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 공연 및 퍼포먼스: 민주주의를 주제로 한 공연과 퍼포먼스가 진행됩니다.
- 헌법재판소 앞 발언: 윤석열 대통령 파면과 관련한 메시지를 직접 전달합니다.
- 행진 및 구호 외침: 헌법재판소에서 주변을 돌며 구호를 외치고 행진을 진행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참여형 이벤트가 준비되어 있으며, 사전 신청 없이도 현장에서 자유롭게 동참할 수 있습니다.
촛불행동과 함께하는 방법
촛불행동은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민주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회원 가입을 통해 더욱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및 서명 운동
- 촛불행동 회원가입: http://bit.ly/촛불행동회원가입
- 국민의힘 해체 서명: https://sign.yoon-out.com
- 윤석열 파면 국민명령 서명: https://victory.candle-action.com
결론
2025년 2월 17일, 헌법재판소 앞에서 열리는 이번 촛불문화제는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과 국민의힘 해체를 촉구하는 중요한 행사입니다.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하는 시민들의 목소리를 모으기 위해 많은 분들이 함께할 예정이며, 여러분의 참여가 대한민국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촛불의 힘은 국민의 힘입니다. 추운 겨울밤, 함께 모여 민주주의의 봄을 준비합시다.
촛불문화제 FAQ
Q. 촛불문화제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나요?
A. 네, 민주주의와 시민의 권리를 지키고 싶은 분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Q. 촛불문화제에서 발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사전 신청을 통해 발언 기회를 받을 수 있으며, 현장에서도 신청 가능합니다.
Q. 후원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A. 신한은행 후원 계좌, 페이팔, ARS를 통해 후원이 가능합니다.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벚꽃 개화시기 | 국내 서울 제주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명소 추천 (0) | 2025.02.17 |
---|---|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방법 | 활용방법 | 유의사항 (0) | 2025.02.17 |
2025년 2월 22일 전국 탄핵반대집회 일정 | 장소 | 준비물 | 유의사항 (1) | 2025.02.16 |
2월 16일 전주 오거리문화광장 탄핵반대집회 세이브코리아 (2) | 2025.02.15 |
환승연애 또 다른 시작 출연진 | ㅣ이혜선 곽민재 정혜임 정규민 이지연 박나언 김광태 조휘현 프로필 (2)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