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정책 총정리: 무역, 조세, 복지, 환경까지 한눈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45대 대통령 임기부터 강경한 보호무역과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으로 세계 정치·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그의 정책 기조는 47대 대통령으로 재임된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무역, 조세, 산업, 복지, 환경, 사회 이슈 등 전방위적으로 보수적이고 민족주의적 성향을 띠고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트럼프의 정책을 분야별로 구체적 수치와 함께 정리합니다.
무역 및 산업 정책
트럼프의 경제 정책 핵심은 미국 우선주의 기반의 보호무역 강화입니다. 특히 대중국 무역 전쟁을 본격화하며 고율 관세(60~100%)를 부과했고,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재협상하여 미국 내 산업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개정했습니다.
-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 최대 100% 부과
- USMCA 재협상을 통해 북미 무역 질서 재편
- 제조업 르네상스 추진으로 국내 생산시설 회귀 유도
- 반도체·배터리 등 전략산업 리쇼어링 인센티브 확대
핵심 요약: 중국 중심 공급망 탈피, 미국 중심 산업 재건이 정책 중심축.
정책 항목 | 내용 |
관세 | 중국산 제품에 최대 100% 부과 |
무역협정 | USMCA 재협상 완료 |
국내 제조 | 외국 기업 미국 생산기지 유치 장려 |
조세 및 금융 정책
트럼프 정부는 법인세 및 소득세 감면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감세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2017년 통과된 세제개편법안으로 법인세 최고세율을 35%에서 21%로 인하했으며, 금융 규제 완화를 통해 민간 투자 촉진을 유도했습니다.
- 법인세 최고세율 35% → 21% 인하
- 중산층 소득세 감면 및 일자리법 연장 추진
- 가상자산 산업 기반 조성 및 세금 우대
핵심 요약: 법인 중심의 대규모 감세 정책과 금융 자유화 추진.
항목 | 내용 |
법인세 | 35% → 21% 인하 |
소득세 | 중산층 중심 감면 확대 |
가상자산 | 세제 혜택 및 산업 기반 마련 |
환경 및 에너지 정책
트럼프는 환경 문제보다 경제적 효율성과 에너지 독립을 우선시하며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탈퇴하였고, 석유·천연가스·석탄 등 화석연료 자원 개발을 적극 추진했습니다. 그 결과 미국은 에너지 자급률을 높이며 셰일가스 개발의 선도국으로 부상했습니다.
- 파리협정 공식 탈퇴
- 화석연료 자원 탐사 및 생산 확대
- 내연기관차 생산 강화 및 전기차 의무 축소
핵심 요약: 기후 협약 탈퇴와 에너지 산업 중심 재편 추진.
정책 항목 | 내용 |
기후정책 | 파리협정 탈퇴 |
에너지 전략 | 석유·가스 개발 확대 |
자동차 정책 | 내연기관차 규제 완화 |
복지 및 교육 정책
트럼프 정부는 공공주택 공급 확대, 첫 주택 구매자에 대한 세제 혜택 제공 등 실용적인 주거 복지 정책을 강화했으며, 교육 부문에서는 보수적 가치를 강조하는 커리큘럼 개편을 추구했습니다.
- 주택 공급 활성화 법안 추진
- 첫 주택 구매자 소득세 면제
- 비판적 인종 이론(CRT) 배제 등 보수 교육 강화
핵심 요약: 실용적 주택 지원과 보수 교육 이념 확대 중심 정책.
분야 | 정책 |
주택 | 공공주택 공급 확대 |
세금 | 첫 주택 구매자 세제 혜택 |
교육 | 보수 이념 중심 교과 개편 |
이민·사회 정책
트럼프는 강력한 반이민 정책으로 국경 장벽 건설, 불법이민자 추방, 원정출산 금지 등을 시행했습니다. 사회적으로는 낙태 금지, 마약 단속 강화, 트랜스젠더 정책 반대 등 강경한 보수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 남부 국경 장벽 건설 지속
- 불법이민자 추방 강화 및 원정출산 금지
- 마약 유입 차단, 낙태 금지 정책
- 성별 정의를 생물학적 기준으로 한정
핵심 요약: 국경·이민 통제 강화 및 보수적 사회 가치 재확립.
정책 항목 | 내용 |
이민 | 국경 장벽, 추방 강화 |
낙태 | 주 정부의 낙태 전면 금지 허용 |
성별 정책 | 트랜스젠더 군복무 제한 |
외교 및 안보 정책
트럼프는 우크라이나 전쟁 중단과 미군 철수를 추진하며 해외 개입 축소를 선언했습니다. 또한 중국에 대한 경제·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한미동맹 재조정을 주장하며 주한미군 분담금 증액을 요구했습니다.
-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원조 중단
- 주한미군 분담금 재협상 요구
- 북한과의 직접 정상회담 추진
핵심 요약: 미군 개입 최소화와 미국의 국익 중심 외교 전략.
외교 정책 | 주한미군 감축 논의 |
우크라이나 | 군사 지원 중단 및 평화 협상 추진 |
대북정책 | 직접 회담 및 단계적 비핵화 접근 |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조기대선 일정 |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 (0) | 2025.04.04 |
---|---|
도널드 트럼프 2.0 내각 및 핵심 참모 총정리 (0) | 2025.04.03 |
도널드 트럼프 2.0: 주요 이력, 정책, 인물 정리 (0) | 2025.04.03 |
2025년 지자체 의원 재보궐선거 당선자 명단 | 후보별 득표수 득표율 | 소속정당 (0) | 2025.04.03 |
2025년 상반기 부산시 교육감 재보궐선거 당선자 명단 | 후보자별 득표율 득표수 | 기권표 무효표 | 소속정당 (0) | 2025.04.03 |